규정 및 정책9 2023년 부가세 신고기간 및 납부기간 알아보기 이번 시간에는 2023년 부가세 납부기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 그에 앞서, 내가 납부해야 하는 부가세가 어느 정도인지 자동계산해보시길 바랍니다. 부가세 자동계산하기 https://www.dailyest.co.kr/contents/vat.php 부가세 계산기 설치없는 부가세 계산기,부가가치세,부가세 계산방법,VAT 계산기 www.dailyest.co.kr 2023년 부가가치세 납부기간(일반과세자) 부가가치세는 6개월을 과세기간으로 해 신고 및 납부를 진행합니다. 각 과세기간을 다시 3개월로 분할하여 중간에 예정신고기간이 설정되어 있습니다. 보통 법인사업자는 1년에 4회, 개인사업자는 2회 신고를 진행합니다. 과세기간 중 월별 조기환급 신고를 했다면 해당 기간의 실적은 빼고 신고해야 합니다. 20.. 2023. 2. 13. 2023년 최저시급·월급·연봉 총정리(세전/세후) 2023년부터 새롭게 바뀌는 것이 많습니다. 대표적으로 2023년 최저시급이 바로 반영된다는 것이 있죠! 아르바이트생, 직장인 등 근로자라면 본인 시급이 적어도 2023년 최저시급을 충족하는지 확인하셔야겠습니다! 오늘은 2023년 최저시급과 함께 이를 월급과 연봉으로 전환한 금액을 확인해보려고 합니다. 2023년에 근로자가 알고 있어야 할 지식이나 기본 권리이니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! 2023년 최저시급은 9,620원으로 202년 최저시급보다 460원 인상된 금액입니다. 물가 등 안 오른 것이 없는 요즘, 2023년 최저시급은 인상되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. 2023년 최저시급에 이어 2년 안에 최저시급 1만원 시대가 올 것이라고 생각이 드는데요, 최저시급이 오를수록 사업주의 입장에서는 부담이 크.. 2023. 2. 11. 2023년 부동산 정책 알아보기 얼마 전 정부에서부터 23년 경제정책을 발표하면서 살펴보는 사람들이 많아졌는데요. 이 중 2023 부동산 정책 과 관련해서 관심을 가지는 이들이 늘어나기 시작해 오늘 한번 부동산 관련된 내용만을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. 부동산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 등을 실행해보고 있던 분들이라면 이번에 새롭게 나온 2023 부동산 정책 에 대해서는 파악해둬야 하지 않을까 싶으니 아직 정리해보지 못했다고 하는 분들은 오늘의 요약정리본부터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. 계속되는 경기침체 및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인해서 어려움이 다양한 곳에서부터 동반되고 있는 요즘 경제 재도약이라는 목표를 띄면서 새로운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는 정부의 움직임이 포착되었습니다. 4대 정책으로 크게 나눠 볼 수 있게 발표되었는데요. .. 2023. 2. 11. 2023년 연말정산 알아보기 2023년 연말정산은 새로운 항목이 늘어난것은 전통시장 사용금액이 추가되었고 나머지 항목은 공제비율이 최대 2배까지 늘어났습니다. 그리고 첫번째 항목의 소비증가분은 신용카드를 작년보다 많이 사용했을 경우라 이부분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. 그리고 한도가 100만원인점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. 예시 월세 60만원 *12 = 720만원 -----> 720만원 * 12% = 864,000원(종전) 월세 60만원 *12 = 720만원 -----> 720만원 * 17% = 1,224,000원 (바뀐후) 주거비부분에서는 총급여가 5500만원 미만일때 비율로 늘어난부분이라 금액면에서 많은 차이가 날것으로 예상됩니다. 예시에서 보시면 86만원에서 120만원으로 많이 늘어난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자녀 인적공제 .. 2023. 2. 11. 이전 1 2 3 다음